최근 기사나 주변에서 테이퍼링이 시작된다.라는 말이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관심이 없거나 최근에 이런 내용을 배워가기 시작했다면 잘 모르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테이퍼링의 사전적 의미는 Taper의 ‘폭이 점점 가늘어지다’는 의미에서 지구력이 필요한 운동선수들이 중요한 시합을 앞두고 훈련량을 점차 줄이는 과정을 테이퍼링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를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회의 발언에서 사용한 이후로는 양적완화 조치의 축소를 뜻하는 경제학 용어로도 사용 하기 시작했습니다.
<참고> 연방준비제도
통화금융정책을 수행하는 미국의 중앙은행제도
The Federal Reserve 줄여서 Fed라고도 표시
경기가 너무 악화돼서 경제가 돌아갈 수 있게 금리를 낮춥니다. 대출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말이죠.
근데 경기가 너무 안 좋으면 빌려서도 안 쓰려고 합니다.
금리가 낮아도 빌려가지 않으니 반대로 돈을 직접 공급하는 정책을 사용합니다. (양적완화)
서서히 경기가 돌아가고 경제가 회복이 되면 양적완화를 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돈을 계속 공급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인플레이션
화폐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계속 상승함을 정의합니다.
이제 나오는 이때 하는 것이 테이퍼링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테이퍼링은 점점 줄인다는 뜻입니다.
즉 한 번에 막는 게 아닌 점점 줄여서 푸는 것입니다. 지원을 서서히 줄여가는 것입니다.
이제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괜찮다 싶으면 금리를 다시 올립니다.
마지막으로 시장에 풀린 돈을 회수합니다.
이렇게 경기를 조정하려고 할 때 테이퍼링 정책을 사용합니다.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금리가 적어 돈의 가치는 하락하고 풀리는 돈으로부터 주가는 상승여력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경기가 좋아지는 과정의 테이퍼링은 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투자금 포함 자금을 회수하려고 함으로써 주가 하락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특히 실적보다 고평가 된 성장주, 기술주 등이 조정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수혜를 볼 수 있는 주식은 금융주가 아닐까 싶습니다.
'주린이의 금융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미국 주식 휴장일 (0) | 2023.01.03 |
---|---|
키움 증권 환전 방법 (환전 가능시간, 고시환율, 가환율) (0) | 2022.11.03 |
키움 증권 배당금 확인 및 알림 신청 방법 (2) | 2022.09.10 |
2022년 미국 주식 휴장일 (0) | 2022.04.20 |
키움 대여체결 해지방법 (0) | 2021.10.06 |
댓글